본문 바로가기

꽃 사진413

쐐기풀 어렸을 때 여름날, 감나무 밑에서 놀다 쐐기에 쏘여 고생했던 기억이 있다. 벌겋게 부어오르고 표현하기 힘든 통증이 며칠간 지속되는데 어머님은 벌이나 쐐기에 쏘였을 때 부뚜막 위 초단지에 있는 막걸리 식초를 쏘인 부위에 몇 차례에 걸쳐서 발라주셨고 그리하면 통증이 덜하면서 부기가 가라앉곤 했다. 며칠 전 미션픽에서 내려오는 길에 풀숲에 피어있는 노란 꽃이 예뻐 카메라를 들이대다 모싯잎 비슷한 식물에 오른 손등을 살짝 스쳤다. 흡사 쐐기에 쏘인 것처럼 심한 통증이 있어 스친 부위를 깨끗한 물로 여러 차례 씻었지만 불쾌한 통증은 여전했고, 피부가 벌겋게 변하면서 저릿저릿해지더니 만져도 감각이 없다. 이게 무슨 풀이길레 통증이 심하고 피부감각이 없어지는 걸까? 사진을 찍어 구글렌즈에 검색해 보니 쐐기풀(Comm.. 2023. 6. 14.
사과 꽃 비타민C를 상징하는 사과는 4월, 5월 사이에 꽃을 피우고 9~10월에 열매를 수확한다. 나무의 수명(壽命)은 대략 70~90여 년으로 품질이 좋은 사과를 수확할 수 있는 기간은 약 30~40년이라고 한다. 간혹 집 뜰에 사과 묘목(苗木)을 심어 놓으면 죽어버리거나 열매 크기가 체리(Cherry)와 비슷한 꽃사과가 열리기도 하는데 이것은 묘목을 심을 때 접목한 부분을 땅에 묻은 것이 원인이다. 화원(花園, Nursery)에서 묘목을 판매할 때 접목(椄木)한 부분을 비닐 등으로 묶어 놓은 경우가 있는데 식재(植栽)를 할 땐 반드시 비닐을 제거하고 접목 부분이 땅에 묻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뿌리는 J 형태로 꺾이지 않도록 하여 빈 틈 없이 흙을 채운 후 뿌리활성제(活性劑)를 물에 섞어 흥건하게 주는 것이 .. 2023. 4. 29.
흰꽃 토끼풀(White Clover) 캘리포니아 전역(全域)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흰꽃 토끼풀(White Clover)은 뿌리가 가늘고 잔디 틈을 파고들어 성장(成長)하기 때문에 잔디마당을 망가뜨리는 일등공신(一等功臣)이다. 유럽이 원산지(原産地)로 세계 곳곳에 퍼져있으며 번식력(繁殖力)과 적응력(適應力)이 강해서 토끼풀을 제거하려면 삽으로 뿌리를 파서 통째로 들어내야만 한다. 토끼풀이란 어원(語原)은 토끼가 잘 먹고 하얀 꽃봉오리가 토끼 꼬리와 비슷해서 그렇다는 설(說)이 있지만 토끼에게 독(毒)으로 작용하는 성분(成分)이 있어서 좋지 않고 오히려 닭이 잘 먹는다고 한다. 잎은 원형(圓形)에 가깝고 흰색 무늬가 있다. 말려서 차(茶)로 마실 수 있지만 이것은 야생(野生)이 아닌 농약(農藥)을 뿌리지 않고 재배했을 경우에만 해당된다. 꽃은.. 2023. 4. 7.
야생 무우(Wild Radish)꽃 지금처럼 한국마켓이 흔하지 않았던 40~50여 년 전, 캘리포니아로 이민 온 한국인들이 잎과 뿌리를 김치로 담가 먹었다는 야생(野生) 무우는 사막(砂漠)과 산악(山岳) 지역을 제외한 캘리포니아 전역(全域)에서 자생(自生)한다. 유럽이 원산지로 농경지, 과수원, 공원 및 방치(放置)된 자연공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한해 또는 두해 살이 식물이다. 캘리포니아에서 개화(開花)하는 시기는 2월~7월, 꽃은 밑부분이 좁아진 4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색상(色相)은 일반적으로 옅은 자주색이지만 분홍, 보라, 흰색을 비롯해서 황갈색에 이르기까지 다양(多樣)하다. 꽃잎 길이는 1.5cm~2.5cm로 줄무늬가 있다. 잎은 대체적으로 뻣뻣하고 납작한 털로 덮여 있으며 밑부분을 향한다. 다 자란 야생 무우는 높이 1.2m.. 2023. 3. 29.
민들레(Dandelion) 민초(民草)의 상징으로 꼽히는 민들레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식물이다.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 나와 옆으로 퍼진다. 잎의 길이는 6∼15 cm, 폭 1.2∼5 cm, 깊이 파여있는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털이 약간 있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핀다.(캘리포니아에서는 2월 3월에도 꽃이 핌) 잎과 비슷한 길이의 꽃대 끝에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통꽃이 머리 모양으로 핀 꽃을 말함)가 1개 달린다. 꽃대에는 흰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두상화 밑에만 털이 남는다. 뿌리 길이는 7∼10cm. 봄에 올라온 어린잎을 깨끗이 씻어 겉절이처럼 양념을 해서 먹거나 나물로 먹으며 약간의 쓴 맛이 있다. 한의(韓醫)에서는 민들레 말린 것을 포공영(蒲公英)이라.. 2023. 3. 20.
벚꽃(Cherry blossom) 벚나무에서 피는 꽃을 '벚꽃'이라 한다. 벚꽃은 봄에 피는 꽃으로 분홍색과 하얀색 두 종류가 있다. 꽃말은 삶의 덧없음, 절세미인, 아름다운 영혼, 정신적 사랑, 삶의 아름다움, 뛰어난 아름다움 등이 있다. 개화 시기는 3월 하순부터 4월 초순으로 봄을 완연하게 느낄 무렵에 피어서 며칠 동안 나무를 뒤덮다가 잎이 나오면서 꽃잎은 떨어진다. 벚꽃은 해발 고도와 지역에 따라서 피는 시기가 다르다. 산간 지역은 평지의 벚나무보다 5~10일 정도 늦게 핀다. 벚꽃은 봄에 피는 꽃이지만 드물게 가을에 피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 관찰된 사례로 2020년 9월 중하순 무렵, 광주광역시에 있는 소수의 벚나무에서 개화했었다고 한다. 가을에 피는 벚꽃은 꽃의 양이 미미해서 꽃이 피었는지도 모르고 지나친다. 벚꽃은 향기가.. 2023. 2. 22.
염좌꽃 다육과에 속하는 '염좌'는 가지를 꺾어 땅에 꽂아놓고 물만 주면 잘 자라는 식물이다. 비 한 방울 내리지 않는 캘리포니아 여름과 서리가 내리는 추운 겨울을 견디는 식물이지만 심은지 10년이 지나야 꽃을 피운다고 한다. 25센트 동전 크기만 한 풍성하고 통통한 이파리 때문인지 꽃말은 '풍요'라고 한다. 염좌꽃을 Google Lens에 검색하면 'Jade plant'로 나온다. 집에 나무가 많으면 관리하는 게 힘들어서 '염좌'에 관심도 없었고, 과일나무가 아닌 나무는 심지도 않았지만, 마눌님은 틈만 나면 '염좌'가지를 꺾어서 여기저기에 심었다. 그러길 10여 년, 비가 그치고 날이 따뜻해지니 옆집과 경계선에 있는 염좌, 뒷마당과 앞마당에 있는 염좌는 흡사 싸락눈이 쌓인 것처럼 꽃을 만개했다. 생명력이 뛰어난.. 2023. 2. 9.
서민(庶民)의 보약(補藥) 부추 10여 년 전, 뒷마당 텃밭에 파종(播種)했던 부추는 해(年)를 거듭할수록 풀 맛이 난다. 내년 봄에 다시 파종하려고 모두 파버렸지만 남아있던 뿌리에서 소박한 꽃을 피웠다. 캘리포니아에서 부추는 봄에 씨앗을 뿌린 후 흙이 마르지 않게 물만 주면 계절에 상관없이 사시사철 먹을 수 있는 채소(菜蔬)다.  독특한 향미(香味)가 있는 부추는 마늘처럼 강장(强壯) 효과가 뛰어나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남자의 양기를 일으킨다 하여 기양초(起陽草), 부부간의 정(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정력(精力)에 도움을 준다 해서 정구지(精久持), 과부(寡婦)가 사는 집 담장을 넘게 한다 하여 월담초(越譚草)라고 한다. 방사(房事)가 부실한 남편에게 부추를 먹였더니 변강쇠가 되어서 집을 허물어 버리고 부추를 심었다 하여.. 2022. 9. 5.
선인장(仙人掌) 1. 개요 Cactus(仙人掌), 석죽목 선인장과의 식물들을 일컫는 말. 아메리카 원산이며 지구에서 가장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식물들이다. 가시로 진화한 눈들이 큰 특징이며, 대부분 다육식물에 속한다. 아메리카 대륙 원산이나 외부 유입으로 제주도, 중국 남부,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호주, 아프리카 등에도 자생한다. 선인장의 육조직 화석이 남기 힘들기 때문에 명확한 진화계통을 알 수 없다. 그나마 알려진 것은, 주류 고생물 학계가 전 세계적으로 관상용/자연에 서식하고 있는 선인장을 유전학을 이용하여 백악기 초기에 현재의 겨우살이 선인장과 비슷한 조상이 최초가 아닌가 하는 추정하는 정도일 뿐이다. 2. 특성 보통 기둥 모양을 한 선인장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평범한 나무와 별 다를 .. 2022. 6. 16.
서양 가시엉겅퀴(milk thistle) 학명: Cirsium vulgare (Savi) Ten. 1997년 9월과 1998년 5월 인천의 북항에서 채집 확인. `지느러미 엉겅퀴`에 비해 관모가 우상으로 분지되어 차이가 뚜렷하며, 자생종의 `엉겅퀴`류에 비하여 식물체 전체를 만질 곳이 없을 정도로 황백색의 예리한 가시가 있다. 잎: 근생엽(根生葉)은 우상(羽狀)으로 심열(深裂)되며 로제트로 된다. 줄기잎은 윤곽이 타원 또는 피침형으로 우상으로 심열 되며 열편의 끝에 황백색 가시가 있고 표면(表面)에 굳은 단모(短毛)가 있으며 이면(裏面)은 백색 면모(綿毛)가 많이 분포한다. 꽃: 머리 모양 꽃차례로 가지 끝에 1개 또는 수개가 피며 총포(總苞)는 긴 달걀 모양으로 지름 2-4cm, 총포 조각은 선형(線形)으로 끝이 뾰족한 가시로 된다. 꽃은 통.. 2022. 4. 15.
금영화(California Poppy) 금영화(California Poppy) = California state flower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한해살이풀. 원산지: 북아메리카, 미국 서부 크기: 높이 30∼50cm, 삭과 길이 8cm 학명: Eschscholtzia californica 캘리포니아 양귀비라고도 한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높이 30∼50cm이며 전체가 회청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깃꼴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다시 갈라져 맨 나중의 조각잎은 선형(線形)이 된다. 꽃은 8월경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양지 바르고 물빠짐이 좋은 곳이라면 어떤 곳에서나 잘 자란다. 이 꽃은 맑게 개인날만 피고 해가 지면 오므라드는 것이 특징인데, 추위에 비교적 약하다. 꽃받침잎은 2개로 .. 2022. 3. 15.
앉은부채 산지의 응달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끈 모양의 뿌리가 나와 사방으로 퍼지며,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 나오고 길이 30∼40cm의 둥근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불쾌한 냄새가 나고 잎자루가 길다. 꽃은 양성화이고 3∼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불염포(佛焰苞)에 싸인 육수꽃차례를 이루며 빽빽이 달린다. 불염포는 둥근 달걀 모양이고 항아리 같으며 육질이고 한쪽으로 열리며 갈색을 띤 자주색이고 같은 색의 반점이 있다. 화피조각은 연한 자주색이고 4개이며 길이 5mm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수술은 4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둥글며 모여 달리고 여름에 붉은 색으로 익는다. 잎은 나물로 먹지만, 뿌리에는 독성이 있다. 한방에서는 줄기와 잎을 구토제·진정제·이뇨제.. 2022. 2. 22.
물매화 풀매화·물매화풀·매화초라고도 한다. 산지의 볕이 잘 드는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3∼4개가 뭉쳐나고 곧게 서며 높이가 10∼4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지름이 1∼3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 달린 잎은 1개이고 잎자루가 없으며 밑 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꽃은 7∼9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꽃의 지름은 2∼2.5cm이고,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긴 타원 모양이고 녹색이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7∼10mm의 넓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며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5개이고, 헛수술은 5개이며 12∼22개로 갈라지고 끝이 황색을 띤 녹색의 작은 구 모양이다. 씨방은 상위(上位)이고, 암술대는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고 길이 1.. 2021. 10. 9.
세잎쥐손이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40∼80 cm이며 마디가 굵고 가지가 길게 자라서 비스듬히 뻗는다. 잎은 마주나고 3개로 깊게 갈라지며 표면과 뒷면 잎맥에 누운털이 있다. 갈래조각은 마름모 비슷한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턱잎은 좁으며 서로 떨어진다. 꽃은 8월에 피고 지름 1∼1.5 cm로 연한 홍색이며 보다 짙은 색깔의 잎맥이 있다. 꽃줄기는 2개로 갈라지고 작은꽃자루 끝에 각각 1개씩의 꽃이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 5개로 갈라진다. 전초를 쥐손이풀과 더불어 지사제(止瀉劑)로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Geranium wilfordii 분포지역: 한국, 중국, 아무르 등.. 2021. 10. 7.
알며느리밥풀 생육특성 알며느리밥풀은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반기생 일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에 주로 자라며 습기가 많다. 키는 30~70㎝ 정도이고, 잎은 중앙에 있는 잎이 난형이며 뾰족하고 길이는 3~6㎝, 폭이 1.5~3㎝이다. 꽃은 홍자색이며 줄기 정상부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어긋나게 달리고 끝에 긴 가시털 같은 톱니가 있다. 열매는 길이가 1㎝ 정도이고 끝이 뾰족하며 짧은 털이 있다. 관상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10~11월에 받은 종자를 보관했다가 이듬해 봄에 화분에 뿌린 후 새싹이 나면 화단에 옮겨 심는다. 1년생 초본이기 때문에 피고 진 자리에 종자가 떨어져있어 주변의 땅을 호미로 파서 부드럽게 해주어야 한다. 관리법 : 낮에 내리쬐는 강한 햇볕을 막아주는 화.. 2021. 9. 25.